Skip to content

문제Q/A

복소함수론(전체통합)

List of Articles
번호 게시판 제목 이름 장절번호 정리종류 문제번호 날짜 조회 수
698 (Q/A)복소수(1반)[2020-1] 해석학 시간에 sgn(x)함수가 x=0일땐 값이 0이라고 배웠습니다 이경준님 질문: 안녕하세요. 교수님! 복소함수론 1분반 이경준입니다. 강의를 듣다가 책이랑 다른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. 저도 해석학 시간에 sgn(x)함수가 ... [1] 정영복 1.1절 기타 2020.03.20 55
697 (Q/A)복소수2[2020-2] 한 점에서만 미분가능한 함수 한 점에서만 미분가능한 함수의 예가 궁금합니다. [5] 김진섭 1장기타 기타 1학기 복습 2020.09.03 59
696 (Q/A)복소수(2반)[2020-1] 코시정리2 질문 내용: 교재에서 하는 것처럼 하면 f 가 rectangle R도 복소수전체도 아닌 임의의 a simply connected domain D에서 analytic 하고 D안의 a closed curve C ... [1] 김남준 4장기타 정리(Theorem) 2020.05.14 32
695 (Q/A)복소수2[2020-2] 코시정리 질문입니다 교수님이 이 부분 설명하시면서 f가 해석적이어도 부정적분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. 코시정리는 f가 disk에서 해석적이면 성립합니다.  그러면 f... [1] file 구정회 7장기타 기타 1학기 복습 2020.09.13 19
694 (Q/A)복소수(2반)[2020-1] 코시정리 질문 내용:   1. Cauchy theorem 을 그린정리를 사용하지 않고 증명하는 법도 알고 싶습니다.  2. 대게 Cauchy theorem 의 가정이 f 를 simply connected domain ... [1] 김남준 4장기타 정리(Theorem) 2020.05.14 36
693 (Q/A)복소수(1반)[2020-1] 질문있습니다. 정리 6.6 설명하실때 delta가 엄밀히 말하면 0이 될수도 있다고 하셨는데, 열린집합이면 경계면의 점이랑 내부점이랑 같을수 없는데.. 어떻게 0이 될수있나요?  [1] 최세미 6.2절 정리(Theorem) 2020.06.08 37
692 (Q/A)복소수(2반)[2020-1] 질문있습니다. 연습문제 3장 7번 Show that a nonconstant analytic function cannot map a region into a straight line or into a circular arc. 증명을 할때 open mapping th... [1] 김남준 3장연습문제 연습문제(Exercise) 7 2020.04.24 52
691 (Q/A)복소수(2반)[2020-1] 질문있습니다. MVT는 사용하기 제한되서 first FTC로 G라는 antiderivative 잡고 증명했는데 올바른 접근방식인지 궁금합니다.  [4] file 김남준 4장연습문제 연습문제(Exercise) 5 2020.05.05 78
690 (Q/A)복소수(2반)[2020-1] 질문있습니다. 질문 내용: 연습문제 4.5번 답변해주신 내용을 살펴봤는데 함수 F의 정의역 D를 region으로 놓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.  문제에 주어진 조건이나 적분 ... [2] 박동진 4장연습문제 기타 5 2020.05.11 31
689 (Q/A)복소수(2반)[2020-1] 질문있습니다 질문 내용:  강의에서 많이 다루는 컴팩트셋, region, open set의 정의와 그들 간의 차이가 명확하게 생각되지 않아서 질문 드립니다. 특히 앞의 두 공간은 어떻... [1] 유현지 4.2절 정의(Definition) 2020.05.19 50
688 (Q/A)복소수(2반)[2020-1] 질문있습니다 수학2 시간에 선적분은 스칼라장과 벡터장의 경우로 나뉜다고 배웠습니다. 이번 수업 내용은 복소함수에 대한 것으로 스칼라장과 관련되어 있는건가요? 또 벡터장... [1] 유현지 4.1절 정의(Definition) 2020.05.05 47
687 (Q/A)복소수(2반)[2020-1] 질문있습니다 C_1 과 C_2가 smooth curves 라 할 때 이 둘이 smoothly equivalent 하려면 함수 람다가 전사임을 보일 필요가 없는 이유가 a = 람다(c) , b= 람다(d) 이고 C_1 &... [1] 김남준 4.1절 정의(Definition) 4.4 2020.05.05 31
686 (Q/A)복소수(1반)[2020-1] 질문입니다. (정리3.3 밑에 예제 참고) 만약 S가 복소수에서 열린집합이면 f함수는 S에서 해석적이다. f함수는 S에서 미분가능이다. 이 두 개는 동치인가요? [2] 허유진 3.1절 기타 2020.06.23 27
685 (Q/A)복소수(2반)[2020-1] 질문(선봉석): Polygonally connected, path-connected, connected 사이의 관계가 궁금합니다! 답변: 수업내용에서와 같이 region에서는 세가지 모두 동치입니다. 일반적으로는 path -> poly -> connected 인 관계가 되계죠 교수님 1.4절 기타 2020.03.31 34
684 (Q/A)복소수1[2021-1] 질문 p43- 21   21번과 관련된 질문이 있는 것을 봤는데 교수님께서 설명해 주신 부분 이후의 과정에 대한 풀이 시작을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. [1] file 황인영 2장연습문제 연습문제(Exercise) p32, p43 2021.06.07 9
목록
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... 47 Next
/ 47

© Copyright. All rights reserved. Home email kakaostory twitter tstory

sketchbook5, 스케치북5

sketchbook5, 스케치북5

나눔글꼴 설치 안내


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.

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
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.

설치 취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