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47 | (Q/A)복소수(1반)[2020-1] |
10주차 강의 질문
질문 내용: 10주차 강의 1강에서 파랑색으로 표시한 왜그럴까요 부분에서 동영상이 끊기고 바로 다음 case3로 넘어갔습니다. 왜 저부분에서 R입실론 대신 R을 ...
[1]
|
이승민 | 5.1절 | 정리(Theorem) | | 2020.05.21 | 40 |
146 | (Q/A)복소수(2반)[2020-1] |
질문있습니다
질문 내용: 강의에서 많이 다루는 컴팩트셋, region, open set의 정의와 그들 간의 차이가 명확하게 생각되지 않아서 질문 드립니다. 특히 앞의 두 공간은 어떻...
[1]
|
유현지 | 4.2절 | 정의(Definition) | | 2020.05.19 | 50 |
145 | (Q/A)복소수(1반)[2020-1] |
2.6 prop질문입니다
1. 해석다항식이면 미분가능하다. 그런데 미분가능한 다항식을 통상 해석다항식이라 부르는걸로 알고있는데, 그렇다면 해석다항식이다와 미분가능하다는 동치조건...
[5]
|
이경준 | 2.1절 | 정리(Theorem) | | 2020.05.17 | 50 |
144 | (Q/A)복소수(1반)[2020-1] |
4장 10번 문제 질문있습니다.
질문 내용: 교수님 강의 안에서는 인티그랄 a에서 b까지의 적분은 a, b가 실수인 것만 다뤄주셨던 것 같습니다. 10번 문제에서는 b에 해당되는 부분이 복소수여서...
[1]
|
김진섭 | 4장연습문제 | 연습문제(Exercise) | 4.10 | 2020.05.19 | 38 |
143 | (Q/A)복소수(1반)[2020-1] |
9주차 강의내용 질문입니다
질문 내용: L(cz ,h) 가 2|h| 이 어떻게 나온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! 그리고 수업중 교수님이 rectangle 정리 와 Th 4.16 중 4.16이 더 좋은 정리라고 말씀하셨...
[3]
|
최수정 | 4.2절 | 정리(Theorem) | 4.15(1) , 4.16 | 2020.05.19 | 29 |
142 | (Q/A)복소수(1반)[2020-1] |
Thm 4.15 질문입니다
1. 교수님이 설명하실때 4.15랑 4.15(1)이랑 비교하시면서 전자는 영역이 상관없고 후자는 영역의 상관이 있다고 하셨는데, 전함수는 모든 점에서 미분가능하니 ...
[1]
|
이경준 | 4.2절 | 정리(Theorem) | | 2020.05.19 | 26 |
141 | (Q/A)복소수(1반)[2020-1] |
강의 질문있습니다.
질문 내용: 정적분값이 0이 된다는것은 직관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는것인지 궁금합니다.
[1]
|
한준수 | 4.2절 | 정리(Theorem) | 4.14 Rectangle Theorem | 2020.05.19 | 31 |
140 | (Q/A)복소수(2반)[2020-1] |
강의 내용 질문있습니다.
질문 내용: 교수님 질문 답변내용중 "Th 4.14(1)이 성립하면 Th 4.14가 성립한다"라고 하셨는데 Th 4.14가 성립하면서 Th 4.14(1)는 성립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지...
[1]
|
김정우 | 4장기타 | 정리(Theorem) | | 2020.05.19 | 26 |
139 | (Q/A)복소수(1반)[2020-1] |
9주차 수업내용 질문 있습니다.
질문 내용: 정리 4.14 rextangle th for entire functions 하고 정리 4.16 Cauchy th for entire functions 의 차이는 뭔가요?
[1]
|
노송현 | 4.2절 | 정리(Theorem) | 4.14,4.16 | 2020.05.18 | 31 |
138 | (Q/A)복소수(1반)[2020-1] |
용어 질문
질문 내용: 4.12에도 나오고 연습문제 8번에도 나오는 derivative 라는 말은 무엇인가요?̑̈?̑̈ 수업시간에는 4.12를 마분족분학의 기본정리로 적어주셔서 교과서...
[1]
|
이승민 | 4.1절 | 명제(Proposition) | | 2020.05.18 | 33 |
137 | (Q/A)복소수(1반)[2020-1] |
9주차 연습문제 질문입니다.
질문 내용: 9번에 어떤식으로 정리 명제를 적용하는지 모르겠습니다.
[1]
|
김응표 | 4장연습문제 | 연습문제(Exercise) | 9번 | 2020.05.18 | 41 |
136 | (Q/A)복소수(2반)[2020-1] |
9주차 질문입니다.
질문 내용: 11번 문제에서 M-L공식을 사용해서 푸는건 이해가 됬습니다. 김수인님 질문의 답변을 읽어보며, 이해해보려 하는 도중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...
[1]
|
이창민 | 4장연습문제 | 연습문제(Exercise) | 연습문제 4장 11번입니다. | 2020.05.18 | 40 |
135 | (Q/A)복소수(1반)[2020-1] |
9주차 강의내용 질문있습니다!
질문 내용: Th 4.14(1)에서는 R이라고 하고 Th 4.15(1)과 Th 4.16(1)에서는 fixed rectangle R 이라고 하셨는데 다른 것을 의미하나요? 다르다면 어떻게 다른가요?
[1]
|
곽예림 | 4.2절 | 정리(Theorem) | | 2020.05.18 | 37 |
134 | (Q/A)복소수(1반)[2020-1] |
Def 4.1 Curve의 정의 질문입니다.
질문 내용: Def.4.1에서 z : [ a , b ] -> C , continuous t(시간)는 [ a , b ]에 속하고, 함수값( z(t) )은 복소수 값을 갖는다라고 정의되었습니다. 그러면 ...
[1]
|
안종상 | 4.1절 | 정의(Definition) | Def 4.1 Curve의 정의 | 2020.05.18 | 43 |
133 | (Q/A)복소수(1반)[2020-1] |
9주차 강의내용 질문입니다.
질문 내용: 교수님께서 정리 4.14와 4.14-(1) 중에서 더 좋은 정리는 4.14-(1)이라고 하셨는데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.
[1]
|
허유진 | 4.1절 | 정리(Theorem) | Th. 4.14 | 2020.05.17 | 4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