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제Q/A
복소함수론1및실습(1,2분반통합)
-
강의 질문입니다.
두 개의 convex set의 공통부분도 convex set이 되나요?Date2020.06.22 Views68 -
e**z 성질에 관한 질문있습니다.
d/dz(e**z) 가 e**z의 x에 대한 편미분과 왜 같게 되나요?Date2020.06.23 Views32 -
6장 연습문제 13번
교수님, 연습문제 13번 풀이 과정 중 (*)에서 P(z)가 무한대로 간다는 정의에 따라 함숫값 P(z)의 크기가 P(0)의 크기보다 크게되는 양수 r 반경을 잡으셨는데 p(0)의 크기 대신에 저는 임의의 양수 M으로 놓고 진행했습니다. 그렇다면 맨 왼쪽 부등식의 p...Date2020.06.23 Views29 -
Th.6.8 질문있습니다
Theorem6.8에서 f가 z=알파에서 analytic이면 무한번 미분가능하다고 하셨는데 역방향도 성립하나요? (무한번 미분가능하면 analytic이다?)Date2020.06.23 Views28 -
Th6.3의 역도성립할지 궁금합니다.
Th6.3의 역도 성립할지 궁금합니다 사진이 있는데 첨부를 어떻게하는지 모르겠습니다....Date2020.06.21 Views35 -
6장 정리 6.9
정리 6.9를 대표적으로 우리는 유일성을 보이는 증명에서 항상 f는 영함수임을 보여왔습니다. 왜 영함수이면 유일성을 보이는지 알고싶습니다.Date2020.06.22 Views23 -
5장 질문입니다.
맨 마지막 문장에서 알파가 어디서 나온건지 궁금합니다.Date2020.06.23 Views22 -
많은 정리들이 열린집합 기반인 이유?
많은 정리들을 보면 region이나 open disk 안에서 이론이 전개가 되는데 왜 열린집합이 이론전개에 좋은가요?Date2020.06.23 Views17 -
질문입니다.
(정리3.3 밑에 예제 참고) 만약 S가 복소수에서 열린집합이면 f함수는 S에서 해석적이다. f함수는 S에서 미분가능이다. 이 두 개는 동치인가요?Date2020.06.23 Views27 -
1장 강의내용 질문있습니다.
노란 별표가 왜 이렇게 나왔는지 모르겠습니다.Date2020.06.23 Views23 -
13주차 강의내용 질문입니다.
6.11정리 증명에서 claim의 의미를 잘 모르겠습니다.Date2020.06.21 Views34 -
13주차 강의 내용 질문있습니다.
A가 open이라는것을 보이는 부분이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.Date2020.06.16 Views41 -
13주차 강의 내용 중 질문 드립니다.
정리 6.9 의 B 관련 증명에서 connected 성질에 의해 B가 공집합이 됨을 더 자세히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?Date2020.06.16 Views40 -
13주차 강의내용 질문있습니다.
region인 D에서 f가 analytic함수라고 할때 만약 f가 D내부에서 relative maximum을 갖으면 그때의 f는 상수함수라고 말할 수 있나요??Date2020.06.16 Views28 -
13주차 강의 질문입니다.
EX에서 왜 수렴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.Date2020.06.16 Views2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