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39 |
Bounded Variation 함수
문제는 [a,b]에서 정의된 미분가능한 Bounded variation 함수의 도함수가 유계인지 살펴보는 문제입니다. 제 생각에는 유계가 아닌 것 같은데 반례가 잘 떠오르지...
[1]
|
선봉석 | 16장기타 | 기타 | 기타 | 2020.08.28 | 45 |
238 |
분리된 집합
동영상에서 A,B 자체가 열린집합이고 A,B가 접하고 S를 A와 B의 합집합이라 정의하면 이 S가 분리된 집합이라고 하셨는데 A,B를 각각 U,V라고 한다면 열린집합이...
[1]
|
김수인 | 1.4절 | 정의(Definition) | 기타 | 2020.09.01 | 43 |
237 |
homomorphism
실수에서 복소수로 가는 함수가 homo 라는 것을 보이면서 위와 같이 정리했는데 homo인 함수의 관계로 나타낼 수 있으면 정의역의 집합은 항상 공역의 집합의 ...
[2]
|
곽규림 | 1.1절 | 정리(Theorem) | 1학기 복습 | 2020.09.01 | 47 |
236 |
수렴반경과 유계(bounded)
멱급수의 수렴반경이 존재한다는 말과 유계(bounded)란 말은 같은 말인가요?
[1]
|
안종상 | 2.2절 | 정리(Theorem) | 1학기 복습 | 2020.09.02 | 33 |
235 |
열린집합
열린집합 두 개를 합친것도 열린집합이라고 하셨는데 그러면 열린집합을 유한개 합친것도 열린집합이 되나요?
[1]
|
이세희 | 1.4절 | 기타 | 14쪽 | 2020.09.02 | 32 |
234 |
분리된 집합
1.분리된 집합은 꼭 두개로 분리되어야 분리된 집합인가요? 실수축에서 둘 이상의 집합으로 분리된것도 분리된 집합이라고 정의하나요? 2. 정수는 분리된 집합인...
[1]
|
최세미 | 1장기타 | 정의(Definition) | 기타 | 2020.09.02 | 30 |
233 |
1주차 강의내용 질문있습니다.
함수 f의 정의역을 복소수 집합의 부분집합인 A로 정의한다고 하셨는데 A는 열린집합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나요?
[2]
|
곽예림 | 1장기타 | 기타 | 1학기 복습 | 2020.09.02 | 46 |
232 |
1주차 수업내용 질문있습니다.
복소수는 실수X실수인 순서쌍에 대응시킬수있는데 그러면 복소수 집합도 비가산인가요?
[1]
|
노송현 | 1.1절 | 기타 | | 2020.09.02 | 33 |
231 |
1주차 수업내용 질문입니다
e^ix=sin(x)+icos(x) 라는 식이 정의로써 이렇게 되는건가요, 아니면 일련의 유도과정을 통해서 나오는건가요? 만약 유도과정이 있다면 저희수준에서 할 수 있는...
[1]
|
이경준 | 1.2절 | 정의(Definition) | 기타 | 2020.09.03 | 34 |
230 |
유계(bounded)
S가 유계일 때 중심이 0이고 반경이 M인 disk에 S가 속한다고 말씀하셨는데 중심이 꼭 0이어야 하나요?
[1]
|
허유진 | 1장기타 | 정의(Definition) | 1학기 복습 | 2020.09.03 | 28 |
229 |
유계
유계랑 열린집합 배울 때 원으로 그림을 그려서 설명해 주셨는데 하계, 상계, 하한, 상한도 유계랑 관련이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 혹시 그려주신 원 그림에 상계...
[1]
|
조승희 | 1장기타 | 정리(Theorem) | 1주2차 | 2020.09.03 | 25 |
228 |
1주차 강의 질문입니다
1주 1차 강의에서 (a,b)의 역원 답이 어떻게 유도되었는지 궁금합니다.
[1]
|
이수아 | 1장기타 | 기타 | 1주차 강의 질문입니다 | 2020.09.04 | 29 |
227 |
1주차 강의 내용 질문입니다.
극형식으로 나타낼 때 e는 자연상수의 값을 나타내고 있나요?
[1]
|
이채희 | 7.1절 | 정리(Theorem) | 기타 | 2020.09.05 | 31 |
226 |
1주차 강의내용 질문입니다.
1. 실수와 허수는 왜 복소수로 묶이게 된건가요? 단지 계산을 위한 건가요? 2. 실수가 모든 구간에서 연결인 것 처럼, 반대로 모든 구간에서 비연결인 집합이 있...
[1]
|
채은미 | 7.1절 | 기타 | 기타 | 2020.09.05 | 29 |
225 |
1주차 강의내용 질문입니다
복소수 집합을 정의할때, 교환군과 체가 되는 이유를 설명해주셨는데 군과 체가 되면 수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나요? 새로운 집합을 정의할때 군과 체가 된다는...
[1]
|
정지우 | 1장기타 | 기타 | 1학기 복습내용 | 2020.09.06 | 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