81 |
강의 질문입니다.
두 개의 convex set의 공통부분도 convex set이 되나요?
[2]
|
김수인 | 5.2절 | 기타 | | 2020.06.22 | 68 |
80 |
e**z 성질에 관한 질문있습니다.
d/dz(e**z) 가 e**z의 x에 대한 편미분과 왜 같게 되나요?
[1]
|
유현지 | 3.2절 | 기타 | | 2020.06.23 | 32 |
79 |
6장 연습문제 13번
교수님, 연습문제 13번 풀이 과정 중 (*)에서 P(z)가 무한대로 간다는 정의에 따라 함숫값 P(z)의 크기가 P(0)의 크기보다 크게되는 양수 r 반경을 잡으셨는데 p...
[1]
|
심현우 | 6장연습문제 | 연습문제(Exercise) | 13 | 2020.06.23 | 29 |
78 |
Th6.3의 역도성립할지 궁금합니다.
Th6.3의 역도 성립할지 궁금합니다 사진이 있는데 첨부를 어떻게하는지 모르겠습니다....
[1]
|
김현재 | 6.1절 | 정리(Theorem) | 6.3 | 2020.06.21 | 35 |
77 |
많은 정리들이 열린집합 기반인 이유?
많은 정리들을 보면 region이나 open disk 안에서 이론이 전개가 되는데 왜 열린집합이 이론전개에 좋은가요?
[1]
|
구정회 | 6장기타 | 기타 | | 2020.06.23 | 17 |
76 |
13주차 강의 내용 질문있습니다.
A가 open이라는것을 보이는 부분이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.
[3]
|
김정우 | 6.3절 | 정리(Theorem) | Th6.9 | 2020.06.16 | 41 |
75 |
13주차 강의 내용 중 질문 드립니다.
정리 6.9 의 B 관련 증명에서 connected 성질에 의해 B가 공집합이 됨을 더 자세히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?
[2]
|
유현지 | 6.2절 | 정리(Theorem) | 6.9 | 2020.06.16 | 40 |
74 |
maximum & minimum modulus
이 두 정리는 요약하면, f가 영역 D에서 상수함수가 아닌 해석함수일 때 1.극대값을 D의 경계에서 갖는다. 2.D에서 근이 없다면 극소값을 D의 경계에서 갖는다. ...
[1]
|
구정회 | 6.1절 | 정리(Theorem) | 6.13,6.14 | 2020.06.14 | 30 |
73 |
6.9 정리
Q1. m_1은 제타_1+N 부터 시작하는 수열이고 m_2는 제타_2+N 부터 시작하는 수열이고 이런식으로 index가 다르니까 서로 다른 수열이고 그래서 멱급수유일성으로 ...
[1]
|
김남준 | 6.3절 | 정리(Theorem) | 6.9 | 2020.06.13 | 43 |
72 |
13주차 강의 질문입니다.
정리 6.9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.
[1]
|
김수인 | 6.3절 | 정리(Theorem) | 6.9 | 2020.06.13 | 28 |
71 |
13주차 질문입니다.
f 는 entire 입니다. 물론 polynomial은 아니지만, 그래도 z->무한대 로 가면 f도 원점에서 멀어지는것 같아보여서 질문드립니다.
[1]
|
이창민 | 6.3절 | 예제(Example) | 6.11 Th 밑 예제 | 2020.06.12 | 40 |
70 |
12주차 강의내용 질문입니다.
정리 6.5와 6.6을 비교했을때, 정리6.6은 좀 더 일반적인 정의역에서 정리6.5를 적용할 수 있는 영역을 생각할 수 있다고 이해하면 될까요? 이어진 예제에서 주어...
[1]
|
유현지 | 6.2절 | 정리(Theorem) | 6.6 | 2020.06.09 | 29 |
69 |
12주차 강의 내용 질문있습니다.
f가 analytic 하면 무한히 미분 가능하다의 증명내용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.
[1]
|
김정우 | 6.3절 | 정리(Theorem) | Th6.8 | 2020.06.09 | 27 |
68 |
12주차 질문입니다.
질문 내용: 2번 문제를 보면, f(z) 함수를 분모의 최고차항이 1차인 2개의 부분분수로 나뉘어서 멱급수로 표현하려합니다. 이때, 부분 분수를 나누면, 분모가 (1...
[1]
|
이창민 | 6장연습문제 | 연습문제(Exercise) | 2번 | 2020.06.05 | 59 |
67 |
12주차 강의 질문입니다.
질문 내용: 여기서 델타를 저렇게 정의했을 때 왜 저 원이 D에 포함되는 가장 큰 원이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.
[1]
|
김수인 | 6.2절 | 정리(Theorem) | 6.6 | 2020.06.02 | 50 |